DIY

[스크랩] 시골에 집을 지으려면 몇 평의 땅이 필요할까?

네모세모네모 2011. 12. 13. 00:42

시골에 집을 지으려면 땅이 얼마나 필요할까?

귀촌,혹은 귀농을 위해 시골에 땅을 구입하시려는 분들중에 100~200평 정도의 크기를 염두에

두고 찾는 분들이 많은데 과거에 이 정도 크기의 집터라면 아주 넓다고 할수가 있는 것이 집의 크기가 작고 차도 없었고농기구의 크기와 종류가 지금보다 훨쒼 적어서 제법 넓은 마당을 가질 수가 있다.

그런데 현재는 집의 크기가 커지고 농기구 또한 기계화 되고 그 가짓수 또한 많아져서 넓은 면적이

필요하고 자동차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안한다면  조금 더 철저하게 따져보고 땅을 구입하는 것이

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자동차를 구입한다고 예를 들면 차의 기본사양과 옵션사양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골집에도 꼭 필요한 필수품목과 선택품목이 있다.

 

필수품목: 1. 주거할 공간 -집.

              2. 부속건물  1동-창고1

              3. 주차할 공간

 

선택품목: 1.별채

              2.마당-이것이 왜 필수가 아닌 선택품목인가는 생각하기 나름이다.

              3.텃밭

              4.정자

              5.부속건물-창고2 (창고 1이 밀폐식이면 창고 2는 개방형 혹은 반 개방형)

              6.완충지대-옆집혹은 주변과의 일정한 거리가 필요하다.

 

우선 집에 필요한 평수 계산을 해보면

       건평의 3~4 배가 집의 평수에 들어간다.왜냐하면 시골집은 아파트와는 달라서

       집이 차지하고 있는 내벽만 아니라 외벽도 주인이 직접 관리를 해야하므로 집의 유지 보수와

      통풍,배수 등을 위한 집 주변의 공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20평의 집을 짓는다면  60평~80평 정도의 땅이 필요하다.

     ( 집의 평수는 거주할 사람의 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넓은 평수의 건물 하나보다는

       작은 평수의 건물 두개가 겨울의 난방비등을 감안한다면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두번째로 주차할 공간 (차가 들어가고 나와야 하고 지인의 방문차량1대를 포함해서 최소한 10평)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으므로 주차할 공간이 필요하다.

       만약 본인이 차가 없다고 할지라도 방문자가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라고

       할수있다-시골살이 하면서 남의집 담벼락이나 길가에 주차할수는 없지 않을까?

      

세째 부속건물 1동

       시골에서 생활하려면 밀폐형이든 반 개방형의 창고이든 반드시 창고가 필요하고

       10평의 창고를 짓는다면 창고부지는 창고평수의 2.5~3배의 땅이 든다.

 

막연히 100평 땅이라고 하면 도시의 아파트를 생각해서 넓은 땅이라고 생각되어지지만

실제 건물이 들어서면 그 건물이 가지고 있는 부피감 때문에  많은 부분의 땅이 필요해진다. 

옛날 집들은 크기가 작고 높이가 낮아서 100평의 땅에 본채 별채 헛간 그리고 마당 이 들어가고도

남는 공간이 있지만 요즈음 짓는 집은 덩치가 크고 높이도 높아서 그렇지가 않다.

실제로 보통 사람들이 마음속에 그리고 있는 전원속의 주택은  위의 필수품목이 들어가 있고

작지만 아담한 정원, 작은 텃밭 과 정자 까지 인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내가 필요한 땅의 평수는

얼마나 되는지 계산이 나오지  않을까?

 

<출처> 지성아빠의 나눔세상-산골아줌마님이 올리신 글을 전재 하였습니다.

 

전원주택/전원부동산 전문까페 : <건강에 투자하는 전원생활>

 http://cafe.daum.net/landleur

출처 : 토지사랑모임카페
글쓴이 : 안재호 원글보기
메모 :